728x90
반응형
백엔드와 관련된 세팅은 어느 정도 다 된 것 같다.
다음 단계로 프리즈마 스키마를 작성해보자. 우선 작성했었던 ERD를 다시 한 번 봤다.
각각의 테이블과 그 관계들을 prisma의 스키마로 작성해야 한다.
참고로 프리즈마 스키마에서 @(어노테이션)이 붙은건 db에 들어가는 값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어노테이션 앞의 타입은 ORM에서 사용하는 타입이다.
다음 npx prisma db push cli 명령어를 입력해본다. 나중에 본격적으로 준비할 때에는 push 말고 migrate로 관리하도록 하자.
명령어 입력 후, pgAdmin4를 보면 다음과 같이 테이블들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에는 api 개발을 시작해보자..!
728x90
반응형
'개발자 도전기 > [PROJECT] 기획부터 개발까지! 러닝화 분석 웹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런픽 | EP05. 인증 시스템 with Passport (0) | 2024.07.26 |
---|---|
런픽 | EP03. nestJS 프로젝트 생성 및 nestJS, prisma 환경 설정 (0) | 2024.05.29 |
런픽 | EP02-2. ERD 설계 - 리뷰와 관련된 데이터들 (0) | 2024.05.16 |
런픽 | EP02-1. ERD 설계 - 유저, 인증 및 러닝화 (0) | 2024.05.12 |
런픽 | EP01. 와이어 프레임 제작 (0) | 2024.05.04 |
댓글